2023.10.18 (수)

  • 구름조금춘천 6.1℃
  • 맑음서울 10.3℃
  • 맑음수원 7.7℃
  • 맑음청주 10.3℃
  • 맑음대전 8.8℃
  • 맑음대구 8.2℃
  • 맑음전주 9.9℃
  • 맑음울산 10.9℃
  • 맑음광주 10.9℃
  • 맑음부산 14.7℃
  • 맑음목포 13.1℃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9.3℃
  • 맑음천안 6.5℃
  • 맑음김해시 11.1℃
  • 맑음구미 7.0℃
기상청 제공

통계

상반기 자동차 판매 2.6% 감소...대형·고급·수입차는 증가

수요 고급화, 양극화 심화, 업체별 양극화 양상
수입차 위주로 친환경차 시장규모 두 배 증가
수입차 점유율 급상승, 대수 기준 15%→18.1%, 금액 기준 30% 넘어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국내 상반기 자동차 판매현황을 분석한’2021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올해 상반기 국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92.4만대로 전년동기 94.8만대 대비 2.6% 감소하였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판매 대수가 역대 최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3년 평균 수준을 유지하여 양호했으나, 수입차 점유율이 급상승하면서 업체 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2021년 상반기 국내 자동차시장 주요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고급화, 양극화 심화에 따라 대형 SUV, 하이브리드차, 수입차 판매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SUV는 전년동기대비 52.6% 증가한 20만대, 하이브리드차는 71.3% 증가한 11.3만대로 금년 승용차 판매의 약 40%가 두 차종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소득양극화에 의한 수요 고급화 확대, 캠핑 등 코로나로 인한 국내 여행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국산차는 6.2% 감소한 반면, 수입차는 전년동기대비 17.9% 증가하였으며, 업체별 양극화도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차는 6.2% 감소한 반면, 수입차는 전년동기대비 17.9% 증가하였으며, 업체별 양극화도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휘발유·경유차 감소가 계속되었고, 전기동력차는 시장점유율이 약 두 배 확대되는 등 성장세를 이어갔다.

 

전기차는 수입차 위주로 시장규모가 두 배 가까이 늘어 시장점유율이 2.3%에서 4.3%로 확대되었다. 이 중 전기승용차는 2.5만대 등록되어 전년대비 51.0% 증가했는데, 수입차 비중이 대수 기준으론 지난해 53%에서 올해 60% 7%p 증가했고, 금액 기준으론 시장점유율이 7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산 급증은 수입산과 국내산 간 개소세 부과 시점 차이, 국내 완성차업체의 중고차거래 금지 등 수입산 대비 국내산 역차별, 전기차 보조금을 노리는 외국계 기업들의 공격적 마케팅 전략, 소득양극화와 수요고급화 경향 등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기버스는 전년대비 113.5% 늘어난 363대가 신규등록되었는데, 중국산 비중도 35%에서 41%로 늘어났으나, 20여 종에 이르는 중국산의 저가공세로 평균 판매가격은 하락세로 나타났다.

 

수소차 보급도 증가세이나,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승용차와는 달리 버스는 보급사업 추진 지자체 부족, 지자체별 보조금 규모 차이, 전기차 대비 부족한 보조금 등으로 전기동력차 보급사업 중 속도가 가장 뒤처졌다.

 

승용차는 보급계획(1.5만대) 대비 30% 수준인 4,300여대가 판매되었으나, 버스는 180대 보급계획 대비 13대가 신규 보급되어 계획대비 달성률이 10%를 하회, 전기버스 대비 보급 속도가 매우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입차 판매대수는 16.7만대로 시장점유율이 전년동기 15.0%에서 3.1%p 상승한 18.1%를 기록하였고 금액으로는 30%를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국가 브랜드별 판매는 독일계 미국계, 일본계, 중국계 순이었으며, 독일계가 상반기 중 10만대 이상을 판매하며 수입차 중 1위일 뿐 아니라 내수시장 전체로도 현대/기아차에 이은 3위 규모였다.  중국계는 전기차 전 차종 확대와 고급SUV 브랜드(볼보) 판매확대로 17.8% 늘어 전년대비 증가율로는 독일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KAMA 정만기 회장은 “자동차 수요의 고급화·개성화·대형화 추세속에서 수입산 판매만 급증하는 추세는 생각해 볼 일”이라면서 “국내산 판매부진은 외자 3사의 노사갈등과 신모델 투입 부족 등 기업요인에 상당부분 기인하나, 개소세 부과시점 차이, 국내 완성차업체의 중고차거래 시장 참여 금지 등 수입산 대비 국내산 역차별 등에도 일부 기인하는 점을 감안하여 국내산이 수입산과 동등 경쟁할 수 있도록 정부가 시장여건을 개선해주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하였다.

관련기사


간행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