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는 2021년 9월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3만 5,801대, 해외 18만 7,792대등 전년 동기 대비 14.1% 감소한 22만 3,593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국내는 30.1% 감소, 해외는 10.1% 감소한 수치다. 국내에서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스포티지(4,386대)로 2개월 연속 기아 월간 판매량1위를 기록했다. 승용 모델은 K8 3,188대, 레이 3,030대, K3 2,130대 등 총 1만 2,969대가 판매됐다. 스포티지를포함한 RV 모델은 쏘렌토 3,820대, 카니발 3,437대, EV62,654대 등 총 1만 9,219대가 판매됐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3,467대 팔리는 등 버스와 트럭을 합쳐 총 3,613대가 판매됐다. 기아 관계자는 “이번달도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과 코로나19 재확산으로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빠른 출고가 가능한 모델을 우선 생산하는 등 생산 일정 조정을 통해 공급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밝혔다. 이어 “EV6와K8, 5세대 스포티지 등 최근 출시된 경쟁력 있는 신형 차량을 앞세워 판매 모멘텀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이즈데이터유에 따르면 8월에 신규 등록된 상용차는 17,715대로 전월 24,639대와 비교하여 크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어서 예년 수준으로 평가된다. 국산 상용차와 수입 상용차도 전월 대비 크게 감소하였다. 전체 신규상용차 등록대수와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국산 브랜드별 등록대수를 보면 순위는 전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다. 전기차업체인 디피코와 에디슨모터스가 순위에 꾸준히 자리잡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기 상용차에 대한관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국산 모델별로 보면 전월 대비 전체적으로 등록대수가 감소했다. 더쎈이 10위에 있는 것이 지난달과 비교했을 때 차이이다. 다른모델들 큰 하락폭에 비해 꾸준한 수치를 유지하고 있어서 10위에 위치한 것 같다. 볼보의 등록대수가 이전 수준으로 회복해서 1위를 기록했다. 벤츠, 스카니아, 만은등록대수에서 큰 차이 없이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볼보의 FH 등록대수가 큰 폭으로 늘어났으며 전체 볼보 등록대수가늘어난 이유로 파악된다. 스카니아의 S시리즈와 이스즈의 엘프도 꾸준하게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특장차, 덤프트럭, 믹서트럭관련 등록대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기아는 2021년 8월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 1,003대, 해외 17만 6,201대등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한 21만 7,204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국내는 6.6% 증가, 해외는 1.4% 감소한 수치다. 국내는 승용 모델 1만 3,838대, RV 모델, 2만 3,355대,전용 전기차 EV6는 1,910대,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3,609대 팔리는 등 버스와트럭을 합쳐 총 3,810대가 판매됐다. 한편, 기아는 지난달 HEV와 EV 등 친환경차를 총 1만 349대판매하며 처음으로 친환경차 월간 내수 판매 1만대를 돌파했다. 기아 관계자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EV6와 K8, 5세대 스포티지 등 최근 출시된 경쟁력 있는 신형차량을 앞세워 판매 모멘텀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2021년 8월국내 5만 1,034대, 해외 24만 3,557대 등 전년 동월 대비 7.6% 감소한 29만 4,591대를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6.5% 감소, 해외 판매는 7.8% 감소한 수치다. 국내의 경우 세단 1만 2,840대, RV 1만 6,894대, 제네시스 8,307대가 팔렸으며포터는 7,424대, 스타리아는 3,563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2,006대가 판매됐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 위기 상황 지속에대응해 각 권역별로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을 이어가겠다”라며 “주요 신차들의 성공적인 글로벌 판매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NE 리서치에 따르면 2021년상반기 전세계(80개국)에 판매된 전기차(EV, PHEV: 승용차+상용차) 브랜드 순위에서 테슬라와 BMW가 각각 EV, PHEV 부문 1위를 차지한 것으로나타났다. 현대와 기아는 각각 EV와 PHEV 부문에서 TOP 10에 자리했지만중국계 업체들의 공세로 순위는 다소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EV 부문에서는 테슬라가 모델 3와 모델 Y 판매 급증에 힘입어 전체판매량이 두 배 이상 증가하면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으며, 중국계인상하이GM울링과 BYD, 장성기차, 니오(Weilai)는 자국 시장 회복에 힘입어 전체 시장성장세를 주도했다. 특히, 상하이GM울링은 홍광 미니 EV를 앞세워 무려 15배에 육박하는 성장률로 2위에 올랐다. 폭스바겐도 ID.3와 ID.4 수요급증에 따라 3배가 넘는 고성장세를 나타내면서 순위가 전년 동기보다 두 계단 상승했다. 이에 비해 르노는 트윙고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조에(ZOE) 판매감소가 전체 증가분을 상쇄시키면서 시장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성장률에 그쳤다. 그에 따라순위가 다섯 계단이나 떨어졌다. 현대는 코나 일렉트릭과 아이오닉5, 포터2 일렉트릭 전기트럭 판매가 모두 증가했지만, 성장률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국내 상반기 자동차 판매현황을 분석한’2021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올해 상반기 국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92.4만대로 전년동기 94.8만대 대비 2.6% 감소하였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판매 대수가 역대 최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3년평균 수준을 유지하여 양호했으나, 수입차 점유율이 급상승하면서 업체 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2021년 상반기 국내 자동차시장 주요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고급화, 양극화심화에 따라 대형 SUV, 하이브리드차, 수입차 판매만 증가한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SUV는 전년동기대비 52.6% 증가한 20만대, 하이브리드차는 71.3% 증가한 11.3만대로 금년 승용차 판매의 약 40%가 두 차종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소득양극화에의한 수요 고급화 확대, 캠핑 등 코로나로 인한 국내 여행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국산차는 6.2% 감소한 반면,수입차는 전년동기대비 17.9% 증가하였으며, 업체별양극화도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차는 6.2% 감소한반면, 수입차는 전년동기대비 17.9% 증가하였으며, 업체별 양극화도
카이즈데이터유에 따르면 7월에 신규 등록된 상용차는 24,639대로 확인됐다. 전월 대비 2.6% 증가로 큰 변화가 없다. 국산 상용차와 수입 상용차로 구분해서 봐도 변화량이 미미한 수준이다. 전년도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수입 상용차의 경우 증가량이 크다. 작년의 경우 코로나의 영향으로 판매량이 크게감소했고 올해는 그 영향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국산 브랜드별 등록대수를 보면 상위권 순위는 큰 변화가 없다. 한국지엠이순위에서 완전히 빠진 것이 눈에 띄는데 다마스와 라보의 단종으로 국내에 판매하는 상용차가 없기 때문이다. 전기차의관심도에 힘입어 디피코 브랜드의 판매량이 크게 증가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국산 모델별로 보면 1톤 트럭이 상위권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1톤 전기트럭이 꾸준하게 인기를 끌고 있는데 보조금으로 구매가격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고 유지비에서도 유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고객 응대를 강화한 이후 만트럭버스 브랜드의 등록대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볼보 브랜드 차량 등록대수가 다소 주춤해서 4위로 밀려났다. 스카니아 S시리즈가 새롭게 출시되어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만트럭버스의 TGM과 TGX의등록대
스텔란티스가 8월 3일(유럽 현지 시각) 라이브 웹캐스트를 통해 2021년 상반기 실적을 발표했다. 올해 초 진행된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푸조시트로엥(PSA) 그룹의 합병으로 탄생한 세계 4위 자동차 제조사로 자리잡은 스텔란티스의 첫 실적 발표다. 올 상반기 실적발표에 따르면 스텔란티스는 프로포마 (Pro Forma, 예상재무재표) 기준 매출액 753억 유로를 기록, 세계적인 코로나 상황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하며 11.4%의 마진율을 기록했다. 그 중에서도 한국을 포함해 중국,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는 프로포마 기준, 매출액 18.8억 유로를 기록, 10.9%의 마진율을 보이며 북미 지역에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 2021년 상반기 중국, 인도태평양 지역이 이같은 강세를 보인 이유로 안정적인 재고 운영과 가격 경쟁력, 나아가 시장에 대한 높은이해도를 기반으로 적합한 모델을 투입한 점을 꼽았다. 향후에도 이 같은 고무적인 실적을 이어가기 위해 스텔란티스는 지난달 발표한 바 있는 전동화 전략을 핵심 원동력으로삼겠다고 밝혔다. 이에 향후 2년간 총 11 종의 순수 전기차 (BEV) 모델 및 10종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2021년 2분기 글로벌연결 경영실적 기준 매출액 1조 8,063억 원과 영업이익 1,871억 원을 달성했다. 한국타이어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32.4%, 영업이익 167.1%가 증가했으며, 전분기 대비 매출액 11.7%, 영업이익이 0.6% 증가하는 실적을 보였다. 특히, 신차용 타이어(이하 OE) 및 교체용 타이어(이하RE) 판매가 전년동기 대비 모두 성장했고,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판매비중도 약 38%로 전년동기 대비 5.4%P 상승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유럽, 북미, 중국등 주요 지역에서의 판매 회복과 고인치 타이어 판매 비중 확대 등을 통해 꾸준한 판매 증가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2분기에는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의 수요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먼저 유럽 시장은 전년동기 대비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판매 비중이 6%P 증가했으며, OE와 RE 판매 모두 큰 폭으로 상승했다. 미국 시장도 전년동기 대비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판매 비중, OE 및 RE 판매 모두 시장 수요 회복 이상의 호조를 기록했다. 중국 시장 역시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판매
현대자동차는 2021년 7월국내 5만 9,856대, 해외 25만 45대 등 전년 동월 대비2.4% 감소한 30만 9,901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22.6% 감소, 해외 판매는 4.2% 증가한 수치다. 현대자동차는 반도체 부족 현상 등 영향으로 국내 시장에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22.6% 감소한 5만 9,856대를 판매했다. 세단은 그랜저가 5,247대, 쏘나타 3,712대, 아반떼 5,386대등 총 1만 4,374대가 팔렸다. RV는 팰리세이드 4,695대, 싼타페 4,452대, 투싼 3,972대등 총 1만 8,509대가 팔렸다. 포터는 8,804대, 스타리아는 4,018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2,201대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5,028대, GV70 3,792대, GV80 2,159대 등 총 1만 1,950대가 팔렸다. 현대자동차는 7월 해외 시장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증가한 25만 45대를판매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 위기 상황 지속에 대응해각 권역별로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을 이어가겠다”라며 “주요 신차들의 성공적인 글로벌 판매를
기아는 2021년 7월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 8,160대, 해외 19만 3,239대등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24만 1,399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2.4% 증가. 해외는 10.4% 증가한수치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3만1,695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 2,117대, K3(포르테)가 1만 9,720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는 2021년 7월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2.4% 증가한 4만 8,160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6,339대가 판매됐다. 승용 모델은 K8 6,008대, K55,777대, 레이 3,325대, K3 3,147대 등 총 2만2,099대가 판매됐다. 쏘렌토를 포함한 RV 모델은카니발 5,632대, 셀토스 3,152대, 스포티지 3,079대등 총 2만 675대가 팔렸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5,163대 팔리는 등 버스와 트럭을 합쳐 총 5,386대가 판매됐다. 기아의 2021년 7월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0.4% 증가한 19만 3,239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2만 8,616대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현대자동차가 22일(목) 서울 본사에서 2021년 2분기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2021년 2분기 실적이판매 103만 1,349대,매출액 30조 3,261억원, 영업이익 1조 8,860억원, 경상이익 2조 5,020억원, 당기순이익 1조 9,826억원이라고발표했다. 현대자동차는 2021년 2분기(4~6월) 글로벌 시장에서 103만 1,349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46.5% 증가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투싼과 아이오닉 5, 제네시스 GV70 등 SUV 신차 중심의 판매로 SUV 판매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개별소비세 인하 등의 영향으로크게 늘었던 지난해 동기 판매와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생산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11.0% 감소한 20만 682대를 판매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지난해 코로나19 기저 효과에 따른 주요 시장 판매가크게 성장한 가운데 주요 차종의 신차 효과까지 더해져 전년 동기보다 73.6% 늘어난 83만 667대를 팔았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8.7% 증가한 30조 3,261억원으로 집계됐다.크게 늘어난 글로벌 도매 판매에 따른 물량 증가 효과가 원달러 환율 하락 영향을 상쇄하면서 매출액이 증가했다. 20
기아는 2021년 2분기 75만 4,117대를 판매했으며, 이에따른 경영실적은 매출액 18조 3,395억원, 영업이익 1조 4,872억원, 경상이익 1조 8,377억원, 당기순이익 1조 3,429억원을기록했다고 밝혔다. 2021년 2분기 기아의글로벌 판매는 국내에서 전년 대비 8.2% 감소한 14만 8,309대, 해외에서 전년 대비70.9% 증가한 60만 5,808대 등 글로벌시장에서 전년 대비 46.1% 증가한 75만 4,117대를 기록했다. 국내 시장은 개별소비세 인하 효과가 집중되며 큰 폭으로 판매가 늘었던 전년 2분기대비해서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2분기에는 해외 시장 락다운의영향으로 국내 판매에 집중할 수 있었던 반면, 올해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난으로 국내 판매 모델에도 생산차질이 발생하며 판매 감소를 피할 수 없었다. 해외 시장은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이 극심했던 유럽, 인도 및 중남미 권역에서의 수요 반등과 주력 차종의 판매 호조로 높은 회복세를 기록했으며, 북미 권역에서도 강력한 경기부양책과 백신 접종 확대 등으로 인한 시장 회복과 쏘렌토ㆍ카니발 등 주요 신차들의인기에 힘입어 판매 증가를 달성했다. 기아는 올해 하반기 경영환경과 관련해 전년 코
6월에 신규 등록된 상용차는 전월 대비 26.8.7% 증가한 24,017대로 확인됐다. 지난 해 6월과 비교해보면 등록대수가 약간 더 상승했다. 국산 상용차 등록대수가 전월대비 크게 늘어났으며 수입 상용차 등록대수도 소폭이지만 상승했다. 수입 상용차 등록대수의 경우 작년 6월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브랜드별 등록대수가 전월 대비 증가했다. 한국지엠의 6월 등록대수가 현저히 줄었는데 다마스의 단종 수순이 반영된 결과로 예측된다. 이를대체하는 차량이 포트로인데 해당 브랜드 디피코의 등록대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등록대수 상위 모델들의 수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중 스타리아의증가율이 눈에 띄는데 출시 후 인기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브랜드 등록대수의 경우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만트럭버스의 경우 큰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만트럭버스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자발적 리콜로 고객 응대를 강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체적으로 만트럭버스 모델들 등록대수가 올라간 것이 눈에 띈다. 위에서언급했듯이 만트럭버스가 한국 시장 강화를 선언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되고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6월 전체는 코로나
지프(Jeep®)가 6월까지 누적 판매량 5,927대(KAIDA2021년 6월 수입 승용 신규 등록 대수 기준)를기록하며 역대 상반기 최고 실적을 다시 한 번 경신했다. 이는 전년4,209대 대비 40.8% 늘어난 수치며, 상반기최고 판매 기록을 세웠던 지난 2019년 4,768대 비교해도 24% 신장된 결과다. 지프는 지난 3월 1,557대를판매하며 월 최다 판매 기록을 자체적으로 경신한 이후 4개월 연속 1천대이상 판매하며 성장 모멘텀을 이어왔다. 6월 한 달간 총 1,134대를판매하며 상반기에만 약 6천대에 가까운 실적을 기록하며 ‘1만대클럽’ 재입성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특히 지프의 가장 아이코닉한 대표 모델 ‘랭글러’ 모델이 상반기에만 1,661대, 전체판매량의 28%를 차지하며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지프의유능한 막내 ‘레니게이드’도 1,475대(24%) 판매, 두모델의 판매량이 전체 판매량의 50%를 넘으며 상반기 실적을 견인했다. 지프의 가장 경쟁력 있는 모델인 ‘체로키’ 패밀리도 각각 누적 1천대 이상 판매됐다. SUV라는 어원을 최초 사용한 지프의 중형 스테디셀러 ‘체로키’는 1,279대(21%), 지프의플래그십 대형 SUV ‘
앨리슨 트랜스미션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강남투어협동조합이 지난 2019년현대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 5대를 처음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총 30대의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을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강남투어협동조합은 부산과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 어린이들의 등·하원, 직장인 출퇴근, 여행객 수송 등을 목적으로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을활용하고 있다. 이 차량에는 앨리슨의 T 1000 xFE™ 전자동변속기가 탑재돼 있다. 카운티는 길이 7m급 준중형 버스 시장을 대표하는 모델로, 관광, 통학, 마을버스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앨리슨 트랜스미션은 110년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운전 편의성, 내구성, 생산성, 경제성이 좋은 전자동 변속기 제품들을 트럭과 버스 등 상용차 제조사들에 공급하고 있다. 부산 강남투어협동조합의 박숙현 대표는 “최근 운전자들 사이에서 수동변속기보다 전자동 변속기를 선호하는 추세가 뚜렷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카운티 오토매틱 차량을 선택하게 됐다”며 “앨리슨 제품은 운전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우수해 회사와 운전자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앨리슨의 전자동 변속기는 수동이나 반자동 변속기와 다르게 클러치나 기어 조
타타대우모빌리티(사장 김태성)가상용차 구매 고객의 금융 부담을 낮추고 보다 실질적인 구매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iM캐피탈(대표 김성욱)과 전략적 업무제휴 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10일, 서울 상암동에위치한 타타대우판매㈜에서 개최된 이번 전략적 업무제휴 협약식에는 양사 대표가 참석해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협약은 상용차 구매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고객들에게 초기 자금 부담을 낮추고 상환 부담을 최소화하는 등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타타대우모빌리티는 차량 제조와 판매, iM캐피탈은 금융 전문성을 바탕으로 각 사의 강점을 결합한 경쟁력 있는 고객 맞춤형 할부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할계획이다. 타타대우모빌리티는 전국 단위의 영업망과 안정적인 차량 공급 역량을 기반으로iM캐피탈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 접근성과 구매 편의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iM캐피탈은 고객의 운행 패턴, 상환 능력 등을 반영한 유연한 금융 솔루션으로 단순한 금융제휴를 넘어 실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구매 혜택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한 양사는 향후 디지털 채널 및 오프라인 거점을 활용한 공동 마케팅 활동도 추진한다.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Automobili Lamborghini)가테메라리오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레이스 전용 모델 ‘테메라리오GT3’를 선보이며 브랜드의 모터스포츠 미래를 본격적으로 열었다. 람보르기니는 7월 11일(현지시간) 영국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테메라리오를 기반으로한 첫 번째 GT3 레이스카 ‘테메라리오 GT3’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해당 모델은 설계부터 개발, 제작까지 전 과정을 산타가타 볼로냐 본사에서 직접 수행한 브랜드 최초의 레이스 전용 차량이라는 점에서 특별한의미를 지닌다. 테메라리오 GT3는 브랜드의 두 번째 HPEV(High Performance Electrified Vehicle) 슈퍼 스포츠카인 테메라리오의 설계초기부터 모터스포츠 파생 모델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차량으로, 람보르기니의 레이싱 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된차세대 GT3 레이스카다. 차량은 기존 테메라리오의 알루미늄 스페이스 프레임 섀시를 기반으로 레이스 환경에 맞춘 경량화와 구조적 개선을거쳤다. 파워트레인은 4.0L V8 트윈터보 엔진을 중심으로구성되며 GT3 레이스 규정에 따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거하고 터보차저 구성 요소를 새롭게 설계해트랙 환경에 최적화된
푸조가 ‘올 뉴 3008 스마트하이브리드(ALL NEW 3008 SMART HYBRID)’ 판매에 맞춰 전국 시승행사와 합리적 금융상품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고객 공략에 나선다. 11일(금)부터 올 뉴 3008 출시를 기념하여 전국 푸조 전시장에서 오는 7월 31일까지 시승행사를 개최하고,시승 고객 전원에게 커피 드립백 키트 ‘취향코드:3008’을증정한다. 커피 전문 브랜드 ‘스테이로스트(STAY LOST)’와 협업 개발한 ‘취향코드:3008’ 커피 키트는 세 가지 감각의 시그니처 블렌드로 구성, 나만의커피 취향을 찾아가는 여정을 통해 올 뉴 3008이 지닌 감각적 매력과 ‘취향을 완성하는 SUV’라는 메시지를 감성적으로 전달한다. 이와 함께 푸조는 국내 준중형 SUV 시장에서 올 뉴 3008의 존재감을 강화하고 고객의 초기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할부 및 유예 할부 상품도 함께 선보인다. 올 뉴 3008의 유예 할부 상품을 이용 시, 선수율 40% 기준 60개월할부로 알뤼르 트림 33만 원대, 상위 GT 트림 월 37만 원대에 차량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완전변경을 통해 8년 만에 새롭게 선보인 올 뉴 3008은 디자인과 주행 효율성, 감성 품질까지 고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대표이사 안종선·이상훈, 이하 한국타이어)가프리미엄 올웨더(All-Weather) 타이어 ‘웨더플렉스 GT(Weatherflex GT)’를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웨더플렉스 GT’는 차세대 프리미엄 올웨더 타이어 전용 브랜드 ‘웨더플렉스(Weatherflex)’의 최초 모델이다. 유럽 겨울용 타이어 필수 인증 마크 ‘3PMSF(3-Peak MountainSnow Flake)’를 획득했을 뿐만 아니라, 혁신적으로 향상된 마일리지(타이어 수명), 쾌적한 승차감과 정숙성 모두를 겸비해 일년 내내 모든계절과 기후에서도 최상의 드라이빙 경험을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해당 제품은 눈길과 빙판, 젖은 노면, 마른 노면 모두에서 뛰어난 핸들링과 제어 능력을 발휘한다. 겨울철노면에 최적화된 패턴 디자인과 지그재그 형태의 그루브(타이어 표면의 홈) 적용으로 겨울철 주행 안정성을 높이고, 길고 넓게 뻗은 가로 방향그루브 설계로 빗길 배수 성능을 강화했다. 또한 블록 강성과 차량 하중을 지지하는 타이어 면적을 높여주행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특히, 업계 최상위 수준의 올웨더 퍼포먼스와 함께 국내 소비자들이올웨더 타이어에 기대하는 정숙성과 마일리지 성능 모
벤틀리모터스가 역사적인 건물을 리노베이션하여 새로 개관한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전설적인 그랜드 투어러 헤리티지를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럭셔리 비전 콘셉트카 ‘EXP 15’를 공개했다.영국 크루(Crewe) 벤틀리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공개된EXP 15 콘셉트카는 20세기 초 그랜드 투어러의 헤리티지에서 영감을 받아 철저히 현대적인재해석을 통해 벤틀리의 새로운 디자인 비전을 제시한다. 벤틀리 디자인 혁명의 요람, 디자인 스튜디오 벤틀리모터스의 새로운 디자인 스튜디오는 전면 개보수를 마친 역사적 건물 ‘프론트오브 하우스(Front of House)’에 자리잡았다. 지난 7일 진행된 개소식에는 프랑크-슈테펜 발리저(Frank-Steffen Walliser) 벤틀리모터스 회장 겸 CEO를비롯해 이사회 멤버와 4,000여 명의 임직원이 참석했다. 디자인 스튜디오가 위치한 프론트 오브 하우스는 1939년 벤틀리모터스가크루에 뿌리를 내리던 시절부터 있었던 유서 깊은 건물로, 엘리자베스2세 영국 여왕을 비롯한 귀빈들을 맞이해 온 벤틀리의 상징적인 공간이다. 디자인 스튜디오이전을 위해 건물에 3층이 새롭게 증축됐으며, 기존 건물을허물지 않고 리노베이션하는 것은 전통과 역사를 계승하
현대커머셜이 HD현대건설기계의 굴착기 초기 구매 부담을 덜어주는 무이자거치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7월 10일 밝혔다. 지난 2021년 출시된 15톤휠 굴착기 ‘HW155A’는 HD현대건설기계의 중형급 굴착기중 가장 많이 판매된 인기 모델이다. 건설 현장 내 이동이 자유롭고 높은 작업 효율성을 선보이는 모델로평가받는다. 이번 프로모션으로 8월 말까지‘HW155A’를 인수하는 차주들에게 2개월 무이자 거치 할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차주들은 원금과 이자를 납부하지 않고 2개월간 굴착기를 이용한 이후원리금 균등 상환방식으로 대출금을 최장 84개월동안 납부하면 된다. 현대커머셜 관계자는 “지난해 큰 사랑을 받은 15톤 휠 굴착기 무이자 할부 프로모션을 HD현대건설기계와 함께 올해도마련했다”며 “취등록세 납부 등 사업 초기 비용 부담으로자금이 부족한 차주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커머셜은 현대자동차그룹 상용차 부문의 유일한 캡티브 금융사로산업금융과 기업금융 전문 기업이다. 산업에 대한 폭넓은 전문성을 기반으로 상용차와 건설기계 할부, 리스 금융 등 고객 맞춤형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투자금융 시장에도진출하는 등 균형 잡힌 성장 전략인
한국앤컴퍼니그룹(회장 조현범)의사업형 지주회사 한국앤컴퍼니㈜가 여름철 폭염을 대비하기 위한 차량 배터리 점검 방법 및 관리 요령을 소개했다.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은 배터리 성능을 저하해 시동 불량이나 방전 사고 위험을 높인다. 이에 한국앤컴퍼니는 평소 배터리 상태 점검과 계절에 맞는 관리법 숙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터리 이상을 알리는 신호는 △스타트 모터 회전 약화 △헤드램프 밝기 변화 △클랙슨 소리 약화 등이 있다. 단자 주변 이물질은 전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어 브러시를 이용한 정기적인 청소가 권장된다. MF(무보수형) 배터리의경우, 상단의 ‘인디케이터’색상을 통해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녹색은 정상, 흑색은 충전 필요, 백색은 교체 시점을 의미한다. 차량용 납축전지(2차전지)의수명은 통상 2~3년이나, 여름철에는 고온으로 인한 전해액증발과 전압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려면 실내 주차, 장기미운행 시 주 1회 이상 시동 걸기 등 일상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의 전장 부품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배터리 전압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수명도 단축될 수 있다. 특히블랙박스는 배터리에 직접 연결